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 해야 할 3가지!

살인진드기는 작은소참진드기의 일종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습니다. SFTS는 치사율이 매우 높은 감염성 질병으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습니다.

 

살인진드기는 주로 철새나 수입된 동물에 붙어서 국내에 유입될 수 있으며, 진드기 방제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

 

살인진드기의 크기는 성체가 1~2mm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색깔은 갈색이나 회색이며, 털이 없고 미끈미끈합니다. 살인진드기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아서 영양을 얻으며, 특히 발목이나 손목과 같은 부위를 선호합니다.

 

살인진드기가 옮기는 SFTS 바이러스는 피나 침과 같은 체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고열, 구토, 설사, 두통, 근육통,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에는 혈액응고장애, 다발성장기부전, 사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의 증상과 진단 방법

    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 나타나는 피부 반응과 전신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부 반응: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붉은 반점이나 종창이 생깁니다. 가려움증이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드기가 아직 붙어있는 경우에는 진드기의 몸통이 부풀어 보일 수 있습니다.
    • 전신 증상: 진드기에 물린 후 1~2주 이내에 고열, 구토, 설사,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SFTS 감염의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SFTS 감염이 의심되면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 혈액 검사: SFTS 바이러스의 항체나 항원을 검출할 수 있는 혈액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혈소판 수치나 간 기능 검사도 필요합니다.
    • 기타 검사: 진드기에 물린 부위의 조직 검사나 체액 검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SFTS 바이러스가 다른 기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심전도, X-선, CT 등의 검사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 해야 할 3가지

    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 해야 할 3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진드기를 제거하는 방법
      • 진드기를 제거할 때는 핀셋이나 진드기제거기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손으로 진드기를 잡거나, 화장품이나 알코올 등으로 죽이려고 하면 안됩니다. 이렇게 하면 진드기가 피나 침을 더 토해내어 감염의 위험이 커집니다.
      • 진드기를 제거할 때는 진드기의 몸통을 가까이에서 잡고, 부드럽게 세로로 당겨서 뽑아야 합니다. 진드기의 머리나 발이 피부에 남아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진드기를 제거한 후에는 진드기를 죽이고, 소독한 도구를 버려야 합니다. 진드기를 잘 보고 싶다면 밀봉된 용기에 넣어서 보관하거나, 사진을 찍어서 기록해두세요.
    • 두 번째, 부위를 소독하고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 진드기를 제거한 후에는 물린 부위를 깨끗하게 씻고, 소독약이나 연고로 소독해야 합니다. 가려움증이나 통증이 있으면 항히스타민제나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 물린 부위가 붓거나 염증이 심하면 의사와 상담하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처방받아야 합니다.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흉터가 남을 수 있으면 상처 치료 전문가에게 상담하세요.
    • 세 번째, 의사와 상담하고 필요한 경우 병원에 내원하는 것
      • 살인진드기에 물린 후 1~2주 이내에 고열, 구토, 설사,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SFTS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SFTS는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 의사와 상담할 때는 살인진드기에 물린 시간과 장소, 증상의 발생과 경과, 복용한 약물 등을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와 치료를 받으세요.
      • SFTS 감염이 확진된 경우에는 병원에 입원하여 격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SFTS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가족이나 접촉자들도 검사와 관찰을 받아야 합니다.

    결론

    살인진드기는 SFTS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위험한 벌레입니다. 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는 진드기를 제거하고, 부위를 소독하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살인진드기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산이나 숲과 같은 진드기가 서식하는 곳에 가면 긴 옷과 모자, 장갑 등으로 피부를 가려야 합니다. 또한 진드기 방제제나 살충제를 바르거나 뿌려야 합니다.
      • 애완동물이나 가축에 진드기가 붙어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진드기 제거제나 살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철새나 수입된 동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 활동을 마친 후에는 옷이나 신발, 가방 등에 진드기가 붙어있지 않은지 검사하고,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몸 전체를 샤워하고, 피부에 상처나 반점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살인진드기는 SFTS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위험한 벌레입니다. 살인진드기에 물렸을 때는 진드기를 제거하고, 부위를 소독하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FTS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살인진드기와 관련된 정보와 팁을 알려드렸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살인진드기로부터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